[Typescript] 유니언과 리터럴(2)
FrontEnd/Typescript2023. 12. 27. 03:45[Typescript] 유니언과 리터럴(2)

🚩리터럴 타입const philosopher = "Hypatia";위의 코드를 보면 philosopher 이라는 변수에 "Hypatia"라는 string을 담았다. 즉, philosopher은 string타입이면서도 구체적으로는 "Hypatia"라는 구체적인 특별한 값을 가진다.이것을 우리는 리터럴 타입이라고 부른다. 리터럴 타입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원시타입 값 중 어떤 것이 아닌 특정 원시값으로 알려진 타입이다. 리터럴 타입으로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은 변수를 const로 선언하고 직접 리터럴 값을 할당하면 Typescript는 해당변수를 할당된 리터럴 값으로 유추한다.let으로 선언할 경우는 일반적인 원시타입을 가진다. 아래와 같은 경우에선 string이다.let lifespan : number..

[Typescript] 유니언과 리터럴(1)
FrontEnd/Typescript2023. 11. 20. 15:49[Typescript] 유니언과 리터럴(1)

유니언이란?유니언(union) : 값에 허용된 타입을 두개 이상의 가능한 타입으로 확장하는 것 변수의 자료형 타입을 "이거" 또는 "저거" 라고 정의해주는 역할을 한다.let mathmatician = Math.random() > 0.5 ? undefined : "Mark Goldberg"; mathmatician은 undefined거나 string일 수 있다. 어떠한 타입인지 정확히 모르지만 두 옵션중 하나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에 코드를 처리하는 개념이다.🚩유니언 타입 선언let thinker : string | null = null;변수에 대해 초기값이 존재해도 명시적 타입 에너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때 유니언 타입을 사용한다.예를 들면 어떤 변수가 null로 유지되다 입력이 들어왔을 때..

[Typescript] 타입시스템 (2)
FrontEnd/Typescript2023. 11. 18. 16:54[Typescript] 타입시스템 (2)

그래서 타입이 뭔데?'타입'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루는 값의 형태이다. → 그럼 형태의 정의는 뭐지? - 형태는 값에 존재하는 속성과 메서드 그리고 내장되어있는 typeof 연산자가 설명하는 것을 의미 - 예를 들어 아래의 간단한 선언문을 보면let language = "typescript";typescript는 langauage 변수가 문자열 타입임을 유추한다! 7가지 원시타입 (Primitive Type)null → nullundefined → undefinedboolean → true or falsestring → "Hello"number → 12345bigint → 12345nsymbol → Symbol("Indigochi1d"오류 종류구문 오류 : Typescript가 Javascript로 변환되..

[Typescript] 타입시스템 (1)
FrontEnd/Typescript2023. 11. 18. 01:26[Typescript] 타입시스템 (1)

Typescript의 타입시스템에 관하여...Typescript의 타입시스템은 왜 필요했을까?Javascript를 사용하면 데이터 타입을 정해놓지 않고도 코드를 구성할 수 있다.따라서 이러한 자유 덕분에 Javascript는 어ㄹ... 쉽다. 하지만 이 자유는 매우 위험하며 다뤄야 하는 파일이 늘어날수록, 받고 보내는 데이터가 많을수록 훼손당하기 쉬우며 실제로 배포단계에서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은 채 배포될 수도 있다. 아래의 코드 예시를 보면..!function paintPainting(painter, painting){ return painter .prepare() .paint(painting,painter.ownMaterials) .finish();}문자열로 생각하고 만들었던 pain..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