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J] 백준 5430 AC Python](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UFsH%2FbtsC84DGp4V%2FApKGH6ZmukBGD9xKB8RdAK%2Fimg.png)
[BOJ] 백준 5430 AC Python알고리즘 & 코테2024. 1. 8. 00:49
Table of Contents
5430번: AC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뒤집기)과 D(버리기)가 있다.
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RDD"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
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는 최대 100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000)
다음 줄에는 [x1,...,xn]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1 ≤ xi ≤ 100)
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
출력4 RDD 4 [1,2,3,4] DD 1 [42] RRD 6 [1,1,2,3,5,8] D 0 []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
문제풀이
큐를 사용해서 푸는 간단한 문제이다. 몇가지의 주의점을 아래에 나열했다.
1. 입력을 받을때 0인 배열을 받을 수도 있으니 이 점을 유의해서 예외로 처리해야한다.
2. 입력시 arr (큐)배열을 [..,..,..,..] 이런식으로 받으므로 괄호를 제외하고 쉼표로 구분하여 각 value들만 arr에 저장시킨다.
3. n == 100,000 일때 R: reverse() 를 R이 입력될때마다 적용하게 되면 시간복잡도가 매우 커진다. 이렇게 풀어본 결과 시간초과가 되었고 해결 방법으로는 p배열안에 'R'의 문자의 개수를 세어 구현해주었다. 이는 R의 홀수/짝수 여부에 따라 마지막에 정답 배열을 뒤집어줄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 판단을 하기 위함이다.
3-1. p 배열안에서 D가 나왔을때 바로 전까지의 R의 개수를 세서 홀수와 짝수일때 각각 다르게 처리해준다. 왜냐하면 R이 나왔을 경우 실제로 뒤집은 상태로 D가 진행되어야하지만 우리는 먼저 개수만 세고 있었기 때문에 pop(), popleft()로 처음원소, 마지막원소를 판단해가며 구현해준다.
4. error가 나올 경우를 생각하고 error가 나올 경우엔 정답 큐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Code
from sys import stdi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tdin.readline
def solve():
T = int(input())
for _ in range(T):
flag = 0
p = input().rstrip()
n = int(input())
arr = deque(input().rstrip()[1:-1].split(","))
rev = 0
if n == 0:
arr = deque()
for i in p:
if i == 'R':
rev += 1
elif i == 'D':
if arr:
D(arr, rev)
else:
flag = 1
print("error")
break
if flag == 0:
if rev % 2 == 0:
print("[" + ",".join(arr)+"]")
else:
arr.reverse()
print("[" + ",".join(arr) + "]")
def R(arr):
arr.reverse()
return arr
def D(arr, rev):
if rev % 2 == 0:
arr.popleft()
else:
arr.pop()
return arr
solve()
'알고리즘 & 코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백준 17298 오큰수 Python (1) | 2024.01.08 |
---|---|
[BOJ] 백준 3190 뱀 Python (1) | 2024.01.08 |
[BOJ] 백준 2449 전구 Python (1) | 2024.01.06 |
[BOJ] 백준 3977 축구 전술 Python (0) | 2024.01.05 |
[BOJ] 백준 7682 틱택토 Python (1) | 2024.01.03 |
@Indigochi1d :: Indigochi1d's Commit Log
안녕하세요? 개발자입니다.